SDGs 이행을 위한 메타 거버넌스 운영자로서의 중간지원조직 역할에 관한 사례 연구: 수원지속가능발전협의회를 사례로
저자
고경호
초록
이 연구의 문제의식은 지역단위에서 SDGs 이행 수단인 협력적 거버넌스의 실질화에 접근하기 위한 전
략과 수단은 무엇인가이다. 이를 위해 한국에서 SDGs 현지화의 사례로 평가받는 수원지속가능발전협의
회의 역사적 활동 과정에 주목하였다. 분석의 핵심은 수원지속협이 메타거버넌스 운영자로서 민관협력 거
버넌스의 실질화에 접근하기 위해 어떠한 전략과 수단을 사용하였는가이다. 연구 결과, 협력적 거버넌스
네트워크 환경 조성 전략과 관련하여, 수원지속협은 의제 21 당시부터 의도화된 조직화 전략에 따라 시민
사회 생태계 조성과 시민사회 대항력 증진을 촉진하였다. 이는 민관 거버넌스에 의한 SDGs 수립 및 이행
을 가능하게 하는 기반이 되었다. 둘째, 협력적 거버넌스의 구조, 규칙 등의 설계 전략과 관련하여, 수원지
속협은 시민 주도성의 민관 거버넌스가 일정한 권한을 행사할 수 있도록 구조와 규칙 등을 설계하여 새로
운 거버넌스로의 전환을 촉진하였다. 셋째, 협력을 위한 촉진 및 참여 전략과 관련하여, 수원지속협은 민
간 대항력의 원천인 네트워크의 구축 및 활동의 촉진, 전문성과 정책력의 강화, 독자성의 확보를 위한 전
략과 수단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지속협을 포함하여 사회적 가치 추구형 민관협력 기반 중간지원조직
의 역할과 관련한 전략과 수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