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영역별 행위자에 대한 시민 신뢰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제도적 수용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저자
최예나
초록
본 연구는 사회영역별 행위자에 대한 시민 신뢰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관계에서 제도적
수용성이 어떠한 조절효과를 가지는지를 실증적으로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중앙정부, 금융기관, 교육기
관, 종교단체에 대한 신뢰는 삶의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언론기관에 대한 신뢰는 삶의 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제도적 수용성은 일부 사회영역별 행위자에 대한 신뢰와
삶의 만족의 관계를 조절하는 효과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향후 정책 설계에서는 단순한 신뢰 제
고를 넘어, 시민의 체감도 향상에 기반한 제도적 수용성 강화를 통해 신뢰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효과를
극대화하는 전략이 요구된다. 즉 정치수용성 회복을 위한 체감도 제고, 경제정책 수혜 체감도와 관련 공공
서비스 전달조직에 대한 시민들의 기대 관리, 복지정책 수혜 체감도와 관련 조직의 정체성 및 조직의 역할
인식 강화 등이 주요한 정책적 개선방향으로 제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