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자치단체 직제 순위조정의 기준 정립을 위한 실증 연구: AHP 분석을 활용한 평가항목의 우선순위 도출
저자
유상미
초록
본 연구는 기초자치단체 간 직제(職制) 순위조정을 위한 평가항목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직제의 평가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직제 서열은 인구 중심의 획일적 기준에 의존해 실제 지역의 행정 수요
와 발전 수준을 적절히 반영하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는 조직역량이론, 역사적 제도주의, 행정규범론에
이론적 기반을 두고, 인구・경제, 생활・문화의 두 가지 영역으로 구성된 다차원적 평가 틀을 설계하였다. 평가항목은 문헌연구와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도출하였으며, 계층화분석법(AHP)을 적용하여 각
항목의 상대적 중요도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단순한 인구 규모 외에도 지역의 경제 기반, 생활 인프라, 문화 여건 등이 기초자치단체의 직제 수준을 판단하는 데 있어 중요한 기준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실증적
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직제 순위조정 기준의 제도화, 지역 특성에 맞는 유연한 적용, 평가지표의 지속적 개선
등의 정책 제언을 제시하며, 지방자치의 실질화를 위한 조직 체계 정비의 토대를 제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