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거버넌스학회

새로운 시대의 거버넌스를 지향하며...한국거버넌스학회
한국거버넌스학회보: Print ISSN 1738-1274 / Online ISSN 2713-6701
간행물명 한국거버넌스학회 학회보
발행년도 2023년 (30권 3호) 수록페이지 25~48페이지
국문제목 낙동강 기수생태계 복원 거버넌스 변동 연구
저자 김창수
초록 이 연구에서는 OECD의 거버넌스 격차분석틀을 활용하여 낙동강 기수생태계 복원을 둘러싼 거버넌스의 변동하였다. 2019년 이후 낙동강하굿둑 개방 실험 과정에서 투명성이 보장되는 가운데 농민과 어민을 포 함한 다양한 수준의 모든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하였다. 2016년 등록한 낙동강기수생태계복원협의회를 중 심으로 다양한 수준의 민관협의체가 지속되면서 목표격차를 좁혀 가고 있었다. 낙동강기수생태계복원협 의회, 낙동강하구 환경관리 실무협의회, 낙동강하구통합운영센터가 관리격차를 해소하는데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부터 하구통합운영센터를 운영하여 염분정보를 실시간 공유하게 되면서 정보격 차가 해소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낙동강기수생태계복원협의회 창립 때부터 복원 운동을 맡 고 있던 환경단체 활동가들이 시민과학의 수준을 제고한 것으로 평가된다. 환경부 예산확보 등으로 모든 거버넌스 격차가 해소될 수 있도록 강력한 상호작용효과를 발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정책격차 측 면에서 볼 때, 낙동강 기수생태계 복원 정책격차는 2017년 문재인대통령 공약, 지방정부의 조례 제정, 국 가물관리계획 반영,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 승인이 이루어지면서 대폭 완화되었다. 전략적으로 21대 국 회에서 낙동강하구복원관리법(안)을 먼저 처리하고 순차적으로 나머지 3대강의 하구복원관리법(안)을 처 리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주요키워드 낙동강하구, 기수생태계 복원, 거버넌스 변동
다운로드
 
 

번호 년도 권호 제목 저자
726 2025 32권1호 지방 소멸 위기 대응을 위한 중앙-지방 간 협력: 인식 차이 분석을 통한 거버넌스 가능성 탐색 전영환, 박미영
725 2025 32권1호 근거이론을 통한 에너지자립마을 지역 주민들의 경험 해석: 경기도 에너지자립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정연경, 이경미
724 2025 32권1호 다문화 직접 접촉 경험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과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접촉이론을 중심으로 김정서, 문국경
723 2025 32권1호 다층분석을 통한 중국 노인 삶의 질 영향요인에 대한 탐색: 산동성(山東省) 지방정부를 중심으로 짱샨샨, 권오상
722 2025 32권1호 재량, 인지된 조직지원, 변혁적 리더십이 변화주도행동에 미치는 영향: 공공봉사동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송충근
721 2024 31권1호 여성친화도시 정책과 성평등 지수의 관계에 관한 연구: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 나현정・심미승
720 2024 31권1호 개인의 역량 결핍과 정책 인지의 관계에 관한 연구: 코로나-19 지원금 인지를 중심으로 박신애・최태현
719 2024 31권1호 한국 관료제와 정치적 중립성의 문제: 쟁점과 현실 이병량
718 2024 31권1호 YouTube를 활용한 정부PR이 지방정부 신뢰에 미치는 영향 정주용・노은주
717 2024 31권1호 지방자치단체 자체재원과 지방보조금 지출규모의 관계에 관한 연구: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배정아
716 2023 30권3호 소극행정의 전략적 설정 게임과 제도・문화적 맥락: 공무원은 왜 적극행정을 선택하지 않는가? 최성욱
715 2023 30권3호 낙동강 기수생태계 복원 거버넌스 변동 연구 김창수
714 2023 30권3호 외국인 이주자 유입의 사회경제적 영향과 외국인 이주자 차별금지에 관한 국민인식의 관계 연구: 정부의 이주자 지원정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이수・최예나
713 2023 30권3호 시민안전교육 거버넌스: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김필・한병훈
712 2023 30권3호 전국 226개 기초자치단체의 지역균형발전 측정 분석과 시사점: 인구 및 경제, 산업 지표를 중심으로 김선명・노진희
711 2023 30권3호 재량은 보육교사에게 “계륵(鷄肋)”인가: 계층적 책무 약화와 정치적 책무 완충 황광선
710 2023 30권3호 직무만족 관리의 상황론적 접근에 관한 연구* 김윤호
709 2023 30권3호 사회적 자본의 형성과 강화: 청주시 초록마을사업을 중심으로 하민철
708 2023 30권3호 소방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PSM) 영향요인: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송충근
707 2023 30권3호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의 관계에 대한 공정성의 조절효과 분석: 공무원 직급별 비교를 중심으로 박소정・이수영・조소연
1 2 3 4 5 6 7 8 9 1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