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거버넌스학회

새로운 시대의 거버넌스를 지향하며...한국거버넌스학회
한국거버넌스학회보: Print ISSN 1738-1274 / Online ISSN 2713-6701
간행물명 한국거버넌스학회 학회보
발행년도 2015년 (22권 3호) 수록페이지 189페이지 / 총 29페이지
국문제목 기능지역(functional area)개념을 활용한 지역고용 정책권역 설정에 관한 연구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영문제목 Alternative Approach to Defining Local Government`s Administrative Division for Employment Policy using Functional Area
저자 김을식 ( Eul Sik Gim ) , 최석현 ( Seok Hyeon Choi ) , 조무상 ( Moo Sang Cho )
초록 서구 국가들을 중심으로 주요 선진국에서는 기존 행정구역과 구별되는 기능지역을 설정하고 각 지역의 특성에 따른 지역 맞춤형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고용정책의 효과성을 제고한다는 측면에서 지역 고용정책 기능지역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지역 고용정책 기능지역 측정 방법으로 최하위 지역인 시ㆍ군ㆍ구(행정시 포함)내의 통근 비율이 75% 이상이고, 생산가능인구가 일정 기준을 넘는 지역이면 자체(비통합) 정책권역으로 판정하고, 이기준을 통과하지 못한 시ㆍ군ㆍ구에 대해서는 접경지역과 통합하여 다시 통근비율과 생산가능인구 기준을 이용하여 판정하였다. 만약 특정 지역이 두 기준을 통과하지 못했는데 통합이 가능한 접경지역이 없다면 이 지역은 자체 고용정책 기능지역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수도권은 총 10개의 기능지역으로 분류되었으며, 경기도로 범위를 제한한 경우에는 7개의 기능지역이 식별되었다. 그리고 경기도의 경우에는 행정서비스 제공의 관점에서 7개 지역을 다시 12개 지역으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이용한 한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개별 지자체장이 수립하고 있는 일자리공시제와 이와 연관된 지역일자리사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단일 기능지역 안에서 지자체간 고용거버넌스 체제를 구축하는 것을 고려해 볼수 있다. 둘째, 각 지자체 별로 이뤄지고 있는 직업훈련과 구인·구인 지원 서비스와 같은 고용서비스를 지역 고용정책 기능지역 범위에 따라 재편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살펴보았듯이 개별 정책의 수요와 기존 행정구역과의 불일치 현상을 해소하기 위하여 정책별기능지역 모델을 적극적으로 개발하여 활용할 필요가 있다.
영문초록 In this empirical study we delineate ‘local employment policy functional areas’ and examine its characteristics. Relying on both ‘2008 Local Area Labour Force Survey’ and ‘2005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we delineate local employment policy functiona
주요키워드 기능지역, 행정구역, 생활권, 지역고용정책, 정부간 거버넌스, Functional Areas, Administrative Division, Living Area, Local Employment Policy, Intergovernmental Governance
다운로드
 
 

번호 년도 권호 제목 저자
576 2017 24권3호 조직몰입과 직무만족 간 관계: 관료가 인식하는 조직특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조태준
575 2017 24권3호 원자력발전소 주변지역 지원사업의 원자력 신뢰도와 수용성 제고 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인섭・이민창・왕재선
574 2017 24권3호 주민참여예산제도를 통한 지방정부의 숙의민주주의의 가능성 분석 배정아・엄인주
573 2017 24권2호 공공기관 인사관리 제도의 디커플링(decoupling) 현상과 원인 분석: 균형인사제도와 유연근무제를 중심으로 김정인
572 2017 24권2호 공적개발원조(ODA) 사업 자체평가에 대한 메타평가 연구 윤수재・조태준
571 2017 24권2호 쓰레기 불법투기 인식 유형과 넛지(nudge): 대구시 달서구 사례를 중심으로 박현주
570 2017 24권2호 일과 삶의 균형(WLB)지원제도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분석: 지방공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홍병윤
569 2017 24권2호 통합사례관리 수행과 성과에 대한 공공과 민간 부문 전문가의 인식 비교 문영주
568 2017 24권2호 공기업 CEO의 출신배경이 정책기여도 및 업무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정부권장정책 및 업무효율 점수를 중심으로 김병수
567 2017 24권2호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공공조직의 성과급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전미선・전영준
566 2017 24권2호 ‘숙의 거버넌스’의 저해요인 연구: 한국의 사례들의 메타분석 권향원・김성민・한수정
565 2017 24권2호 영국의 자원봉사제도 변화(1998-2013)에 관한 연구: ‘협약’과 ‘큰사회’의 제도층화를 중심으로 송정안・이혜영
564 2017 24권1호 공공서비스의 정부간 거래 활성화 방안: 서울시의 우수정책 해외진출 사례를 중심으로 한인섭・곽명신・유연식
563 2017 24권1호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의 참여 특성과 효과 인식에 관한 연구 현다경
562 2017 24권1호 위계문화가 정보기술 활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세종시 이전 중앙행정기관을 중심으로 안선민・엄석진
561 2017 24권1호 표면적 다양성과 심층적 다양성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 자치구 팀을 중심으로 노종호
560 2017 24권1호 고령자의 일상적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장항채・김동철・김정수・김대건
559 2017 24권1호 지역특성이 지방재정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기지역 기초자치단체들에 대한 퍼지셋분석을 중심으로 최예나・김상헌
558 2017 24권1호 ACF를 적용한 도청이전 입지선정과정의 분석: 전남도청이전 사례를 중심으로 이동기
557 2017 24권1호 지방정부 성과관리제도의 운영에 대한 시차적 평가 강윤호
1 2 3 4 5 6 7 8 9 1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