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거버넌스학회

새로운 시대의 거버넌스를 지향하며...한국거버넌스학회
한국거버넌스학회보: Print ISSN 1738-1274 / Online ISSN 2713-6701
간행물명 한국거버넌스학회 학회보
발행년도 2014년 (21권 2호) 수록페이지 149페이지 / 총 28페이지
국문제목 기초지방선거에서의 정당공천제 폐지 실패사례 분석 -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을 중심으로 -
영문제목 The Analysis on failure case of Party Nomination` Abolition in Local Government Elections: Focused on Kingdon`s Multiple Streams Framework
저자 전성욱 ( Seong Wook Jeon )
초록 본 연구는 정책의제 설정과정에서 기초지방선거 정당공천제 폐지라는 사회적 이슈가 결정의 제로 전환되지 못하고 정책산출에 실패하게 된 원인을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006년 기초의원까지 정당공천제가 도입되면서 학계, 시민단체, 국민 등을 중심으로 폐지 논의가 본격화되었고, 이 정책문제는 2012년 여야 유력 대선후보가 폐지를 공약함으로써 정책의 창이 열리게 되고 정부의제가 되었다. 이는 정치의 흐름에서 정책결정자의 관심과 주목을 끌면서 정치권에서 합의기구 설치·운영, 합의를 위한 논의 등 최종 결정의제로 전환할 기회를 가졌으나, 문제제기, 정치적 고려, 정책대안이라는 세 흐름의 불안전한 결합에 의해 정책의 창은 닫히고 2014년 지방선거에서 중앙정당들이 공천을 유지함으로써 정책산출에 실패하게 되었다. 분석결과, 정책산출에 실패하게 된 가장 큰 이유는 정치적 흐름이며, 여야의 지방선거에서의 우위확보 및 지지기반 이탈 방지,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른 입장 변화, 대통령의 소극적 태도를 들 수 있다. 정책대안의 흐름에서는 대안으로써 정책공동체의 가치수용성에 부합되지 못했으며, 정치세력의 지배적인 지지나 합의에 이르지 못했기 때문이다. 연구의 의의는 정치적 이슈를 정책형성과정 측면에서 분석함으로써 이론을 검증하고 현실적 적용가능성을 확대하였고, 정책혁신가의 존재와 역할의 중요성을 확인한 점, 사설, 뉴스기사, 기존연구 등 실증자료를 폭넓게 활용함으로써 분석의 객관성과 신뢰성을 제고하였다는 점이다.
영문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ide the implications by analyzing with kingdon``s multiple streams framework the cause of policy output``s failure and of not switching party nomination system to decision agenda. By expanding party nomination to local c
주요키워드 정당공천, 지방선거, 정책의제설정, 정책형성과정, 다중흐름모형, 정책혁신가, party nomination, local election, policy agenda setting, policy formation, multiple streams framework, policy entrepreneurs
다운로드
 
 

번호 년도 권호 제목 저자
539 2016 23권2호 상사가 발휘하는 리더십스타일이 공무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Supervisor`s Leadership Style on Civil Servant`s Organizational Commitment
심규익 ( Sim Kyu-ick )
538 2016 23권2호 원자력 안전규제의 평가기준과 규제도구의 대안개발 및 탐색적 적용: 연구ㆍ교육용 원자로 안전규제 사례적용을 중심으로
Alternative Development and its Experimental Application of Evaluation Standards and Regulation Instruments for the Atomic Safety Regulation: Focusing on the Safety Regulation of Research and Education Reactor HANARO
안치순 ( An Chi-soon ) , 김정렬 ( Kim Jung-yul )
537 2016 23권2호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의 지속성과 지속의사가 청소년 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연구와 개선점
A Study on the Effects of Teenagers` Intention to Continue Volunteering on their Civil Awareness and Improvements
곽미정 ( Kwak Mi Jung ) , 정희남 ( Jung Hyi Nam ) , 김종범 ( Kim Jong Bum )
536 2016 23권1호 레드테이프에서 그린테이프 전환연구
The Study on Transfer Model from Red tape to Green tape
안병철 ( Byeong Cheol Ahn )
535 2016 23권1호 청년고용관련 정책대안의 우선순위 탐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search of Priority of Policy Alternatives Related with Youth Employment
최승제 ( Seung Je Choi ) , 이시원 ( See Won Lee )
534 2016 23권1호 문화와 경제: 문화는 도시를 살리는가?
Culture and Economy: Can Culture Lead the Economic Development of the City?
이병량 ( Byung Ryang Lee )
533 2016 23권1호 지방자치단체의 민간위탁제도 개선에 관한 델파이 분석: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Improving of the Contracting-out System in the Local Governments by Delphi Survey: Focused on the Ordinance in the Local Governments
고재권 ( Jaekwon Ko ) , 강병준 ( Byung Jun Kang )
532 2016 23권1호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마을공동체 활동가의 인식을 중심으로
The Role of Local Government for the Revitalization of Local Grassroots Community
이현국 ( Hyunkuk Lee ) , 범령령 ( Lingling Fan )
531 2016 23권1호 조직계층에 따른 구성원들의 컴퓨터 매개성 의사소통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이용 특성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Level on Employees` Computer-Mediated-Communication (CMC) Use
김윤호 ( Yoonho Kim )
530 2016 23권1호 압축적 개발을 통한 도시재생에 대한 논쟁적 접근: 도시생활환경과 사회적 공평을 중심으로
Critical Approaches to Urban Regeneration through Compact Development: Focusing on Urban Living Environment and Social Equity
서준교 ( Joon Kyo Seo )
529 2016 23권1호 정책수단의 연구영역과 과제: 사회과학 학술등재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search Field and Issue of Policy Instrument: Focusing on Korean Social Science Journal Articles
주용환 ( Yonghwan Ju )
528 2016 23권1호 한국사회에서 정부신뢰가 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 연구: < 한국종합사회조사(KGSS) 2013 >를 바탕으로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Governmental Trust and Risk Perception in Korea: Based on KGSS 2013
강윤재 ( Yunjae Kang ) , 정서화 ( Seohwa Jeong ) , 조현석 ( Hyunsuk Cho )
527 2016 23권1호 지역별 구직자 분해를 통한 일자리 미스매치 분석 및 정책 제언: 광양만권역 사례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Job Mismatch in Kwangyang Bay Area by an Approach of Job-seekers Decomposition
김소라 ( Sora Kim ) , 김선명 ( Seon Myung Kim ) , 유일 ( Il Ryu )
526 2016 23권1호 해항도시(海港都市)의 해양산업 실태와 지속가능한 발전방안: 부산의 해양일자리 창출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omotion Strategy of Marine Industries for Job Creation in Seaport City: The Case of Busan
우양호 ( Yang Ho Woo ) , 김상구 ( Sang Goo Kim )
525 2016 23권1호 LTV,DTI의 규제거버넌스 고찰
A Study on Regulatory Governance of LTV and DTI
문제헌 ( Je Heon Moon )
524 2015 22권3호 글로벌 환경 거버넌스 구축 현황 및 과제 -한중일 환경장관회의(TEMM)를 중심으로-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Tasks of Global Environmental Governance Building and Operation
안형기 ( Hyung Ki Ahn ) , 이진만 ( Jin Man Lee ) , 백형배 ( Hyung Bae Baek )
523 2015 22권3호 보건산업 육성과 발전 전략에 관한 담론
Discourse on the Strategy of the Development and Promotion of Health Industry
윤은기 ( Eun Gee Yun )
522 2015 22권3호 사회적문제해결형 사회적기업 가능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경기도 사회적기업 종사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the Possibility of Adoption and Development of Innovative Social Enterprise: Based on the Perception of Employees of Social Enterprises in Kyunggi-do
배귀희 ( Kwi Hee Bae ) , 전성태 ( Seong Tae Jeon )
521 2015 22권3호 경제자유구역 성과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인천경제자유구역(IFEZ) 공무원 및 투자기업 직원들의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Outcomes of Free Economic Zone:Focusing on the Perceptions of Public Officials and Employees of Investing Companies in IFEZ
정태옥 ( Tea Ok Choung ) , 채원호 ( Won Ho Chai )
520 2015 22권3호 군사시설로 인한 갈등의 해결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olution Factor for Conflicts Caused from Military Facilities
홍성운 ( Sung Woon Hong ) , 김찬환 ( Chan Huan Kim )
TOP